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정보공유

다이어트, 체중 감량보다 중요한 이것

by ♥밍구아범♥ 2023. 7. 2.
반응형

다이어트는 우리의 건강을 보다 더 건강하게 유지해 주고 건강한 몸매를 통한 자신감 상승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그 과정이 너무 힘들다 보니 대부분 중도포기하거나 과도한 스트레스로 원형탈모, 우울증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이어트를 하는 모든 사람들의 가장 큰 목표가 체중감량이겠지만 다이어트시 체중감량 보다도 더 중요한 요소는 내장지방감량, 즉 허리둘레를 줄여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부비만이란?

 

뱃살은 피부속에 쌓인 피하지방과 뱃속의 내방지방으로 이뤄지는데 이를 통해 배가 과도하게 나오는 것을 복부비만이라 합니다. 뚱뚱한 사람만 복부비만이 있다고 생각을 하지만 체중이 적게 나가더라도 남성의 허리둘레가 90센티 이상, 여성은 85센티 이상일 경우 복부비만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 수치는 대략 남성 36인치, 여성은 34인치로 수치상 비슷하거나 더 높게 측정되었다면 건강을 위해 조치를 취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뇌졸증, 심근경색, 유방암 등 이름만 들어도 어마무시한 병들이 비만과 엄청 밀첩 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내장지방이 심한 경우는 더 심하게 노출될 수 있으니 비만도가 높은 분들이시라면 하루라도 더 빨리 체중관리를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복부비만 제거하기 

 

대부분 다이어트를 시작하면 초반에 체중이 생각보다 많이 감량하는것을 경험해 보셨을 텐데요, 이는 지방이 빠지는 것보다 근육과 수분이 빠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때 살 좀 빠졌다고 생각하고 참았던 음식들을 폭식하게 되면 수분과 근육이 빠진 자리에 지방이 생겨 요요 현상이 오기 쉽습니다.

 

몸무게는 크게 변화가 없더라도 허리둘레가 줄어들고 근육량이 늘어난다면 더할나이 없이 건강한 다이어트인데요, 결과는 천천히 나타나더라도 건강하고 스트레스 없는 다이어트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복부비만을 제거하기위해 가장 좋은 것은 식습관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짜고 기름진 음식을 피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하루 한 끼만 먹는다고 살이 빠진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계속참고 있다가 한 끼 제대로 먹는 식습관은 오히려 우리 몸이 지방을 더 쉽게 축적할 수 있는 환경을 줄 수 있어 조금씩 나눠서 규칙적인 식사를 해주시는 게 훨씬 건강한 식습관입니다.

 

 

건강한 식탁

 

맛있는 음식은 힘들때 힘을 주고 가끔 스트레스도 해소시켜 주며 행복함도 많이 주지만 건강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건강한 식단으로 챙겨 드셔야 됩니다.

 

처음부터 극단적으로 식단을 변경하면 결코 다이어트에 성공하기 쉽지않습니다. 처음에는 내가 즐기던 식단위주를 유지하되 한두 번 건강식을 먹어보다가 적응이 조금 된다면 건강식의 비중을 조금 더 올려주시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나트륨 함량을 줄이고 자주 먹지않던 채소도 가끔 먹으며 휜쌀밥보다는 잡곡밥 위주의 식사만으로도 엄청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아래 있는 방법 중 몇 가지라도 꼭 실행하셔서 건강한 생활 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국물음식에는 나트륨이 많이 함유된 있기 때문에 최대한 피하고 국물음식을 섭취 시 말아먹지 말고 따로 먹기
  • 채소와 과일섭취는 다양한 영양소와 식이섬유를 제공하지만 당이 높은 과일은 적당히 섭취하기
  •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중심으로 하고 과다한 탄수화물 섭취는 피하기
  • 음주와 담배는 최악의 건강파트너이니 최대한 멀리하기
  • 포화지방이 많은 음식은 줄이고 밀가루 음식 또한 최소화하기 
  • 하루 한 끼 폭식하는 거보다는 규칙적인 시간에 조금씩 나눠먹기
  • 충분한 수분섭취-수분은 우리 몸에 엄청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니 꼭 하루 권장양인 2리터는 섭취할 수 있도록 노력하기

익숙한 생활패턴이 변경되면 많이 어색하고 적응도 잘 안되는 거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건강항 생활을 위해서 전부는 아니더라도 조금씩 변화를 주고 실천하면서 보다 더 건강한 생활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